초등학교 시험시간에 이런 문제가 나왔다고 한다. ( )
안에 답을 쓰세요
문제 : “옆집 아주머니께서 사과를 하나 주셨습니다.
그럼 무엇이라고 말해야 할까요?”
답 :
(
).
오늘은 많은 분들이 두손이 무겁게^^, 차 바퀴가 빵구나게^^
왔다.
근디 담배는 없었당......
금방도 밤 11시가 다 되었는데도 고시공부하는 두 사람이 두손이 무겁게 와서
땀을 흘리며 앉아 있다가 갔다. 꼭 한번 오고 싶었단다. 늦게 와서
죄송하단다.
ㅎㅎㅎ 뭐가 죄송한 것일까?
쌀도 많이 들어오고, 김치도 들어오고, 부식도 들어오고, 배추도
들어오고
오늘은 밥 안먹어도 배부른 날이다.
그래서 인지 지금까지도 배부르다.
뭐든지 나누면 배부르나 보다.
슬픔을 나누면 모두가 배부르게 눈물흘리고.
눈물을 나누면 모두가 배부르게 껴안을 수 있고.
기쁨을 나누면 모두가 배부르게 웃고.
사랑을 나누면 모두가 배부르게 행복하고.
희망을 나누면 모두가 배부르게 평화로지고.
믿음을 나누면 모두가 배부르게 사랑할 수 있고.
용산의 암울한 곳이 이제는 서로 가진 것을 나누는 배부른 곳이 되었으면
좋겠다.
그러기 위해서 더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 와서 이곳의 나눔을 배워갔으면
좋겠다.
특히 용산을 쳐다보지도 않는 사람들
꼭 쳐다봐라. 니네들보다 더 가진 것도 없고
빽도 없고, 힘도 없지만.
나누면서 재미나게 사는 사람들이 있으니까
니네도 후회할 날이 올 것이다. 꼭 올 것이다.
아니 와야 된다. 꼭 와야 된다.
그래야 우리가 하는 것이 헛되지 않지.
앞 문제의 정답은 “고맙습니다” 라고 써야 된다.
근데 그 어떤 학생은 “머 이런 걸 다”라고 적었다고 합니다.
하하하하









